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꿈과 진로 15) 꿈을 막는 장애물: 기질과 성격

by 루아흐비전(Ruach Vision) 2023. 5. 12.
반응형
시냇가 돌 위에 서있는 어린이 두 발 사진
(출처 : Pixabay)

 

기질과 성격

돌다리도 두드려보고 건너는 타고난 기질로 인해서 꿈에 도전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돌다리만 실컷 두드려보고 멀쩡한데도 안 건너는 분도 보았습니다. 기질은 개인의 정서적 반응 또는 상호 작용하면서 나타나는 행동양식으로써 이는 타고난 것이라 의지적으로 바꾸기가 쉽지는 않습니다.

 

예를 들어, 모든 케이스를 꼼꼼하게 확인해야 비로소 행동을 하는 유형이 있는 반면에, 어떤 사람은 제대로 확인하지도 않고 일단 행동부터 하는 유형도 있습니다. 자신의 기질을 잘 인식하지 못해서 꿈을 지레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 문제라면 문제입니다. 자신의 기질이 어떻다는 것을 알면 오히려 더 적극적으로 도전할 수 있습니다.

기질의 세 가지 유형

기질에는 아래와 같은 세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첫째, 쉬운 아이(Easy child)

쉬운 아이 유형의 기질을 가진 아이는 일반적으로 먹고 자는 것이 규칙적입니다. 부모님의 말씀을 잘 듣고 스스로 행복하고 즐거운 감정표현이 많은 편입니다. 낯선 상황에서도 잘 접근하고 새로운 환경에 쉽게 적응하는 편이지만 만일 환경이 크게 변할 때 혼자서 처리해야 할 경우가 생기면 잘 도전하지 않으려 합니다. 이런 경우는 부모님이 가이드를 적극적으로 하는가에 따라 미래 꿈의 달성여부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둘째, 까다로운 아이(Difficult child)

까다로운 아이 유형의 기질을 가진 아이는 먹고 자는 것이 불규칙합니다. 부정적인 감정표현도 많고 환경변화에 민감하고 강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어서 변화에 적응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는 편입니다. 이런 기질의 아이에게 부모가 꿈을 이루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억지로 푸시하고 짜 맞추려고 하면 반드시 문제가 생깁니다. 이 경우에는 변화에 적응하는 시간을 주어야 하고, 자신이 스스로 꿈을 편안하게 받아들일 수 있을 때 비로소 함께 도전하는 것이 좋습니다.

 

셋째, 천천히 발동이 걸리는 아이(Slow to warm up child)

천천히 발동이 걸리는 아이 유형의 기질을 가진 아이는 신체적으로는 규칙적입니다. 긍정적인 감정표현이 많은 편이지만 표현하는데 시간이 걸리는 유형입니다.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립니다. 부모가 답답하다고 아이를 강하게 끌어당기면 오히려 해가 됩니다. 강요할 수록 아이는 더욱 거부하게 됩니다. 이런 유형의 아이에게는 꿈 화두를 던지고 기다려 주어야 합니다. 시간은 걸리지만 관심이 생기면 누구보다 몰입해서 추진하는 유형입니다.

 

이는 아이의 기질이 소극적이고 까다로우니 꿈을 포기하는 것을 부모가 인정해 주라는 의미가 아니라, 그런 기질이라는 것을 알았다면 자녀가 그 기질임에도 불구하고 거부감 없이 자신의 꿈을 이루어 나갈 수 있는 길을 찾아주자는 의미입니다.

성격유형으로 아이를 파악하기

성격유형으로 아이를 파악해 보는 것도 비슷합니다. 내향적인 성격이 있고 외향적인 성격이 있는 반면에 꼼꼼하게 알아보는 성격이 있고 또 덜렁대는 성격도 있습니다. 꿈이 있으면서도 섣불리 도전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보면 대개 너무 꼼꼼하게 이것저것 확인하느라 시기를 놓치거나 도전보다는 현실의 안정을 더 중시하는 성격이기 때문인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너무 꼼꼼하게 확인한다고 하여 꿈을 아예 포기하는 것이라고 단정지어서는 안 됩니다.

 

이 중에는 기질상 천천히 발동이 걸리는 사람일 수도 있습니다. 이럴 때는 비슷한 기질이면서 자신의 꿈을 이루어 낸 인물들을 알려주고 지속적으로 꿈을 이루어 내기 위해 달려갈 수 있도록 동기부여를 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가끔씩 스스로 지쳐서 포기해 버리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기질과 성격은 어떤 관점으로 보는가에 따라 꿈을 이루는 데 방해물이 되기도 하고 오히려 도움이 되는 존재가 되기도 합니다.

 

기질을 극복하기 위해 도전하는 방법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약점을 강정으로 활용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내가 하기 어려우면 나와 반대되는 기질이나 성격의 소유자와 함께 서로를 보완하며 꿈을 이루어 가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비행기 조종사가 되고 싶은데 성격상 먼저 한 발을 내딛지 못하는 스타일이라면, 조종사가 되고 싶은 사람들이 모인 온라인 모임에 가입해서 함께 팀을 이뤄 준비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됩니다. 딸려가는 것 같으나 그 안에서 덜렁거리는 유형의 사람들에게 꼼꼼하게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기질을 극복하는 방법

첫째, 자신의 기질에 대해 이해해보기

자신의 기질이 어떤 지 먼저 이해하려는 생각을 갖고, 어떤 상황에서 자신의 그 기질이 안 좋은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해보아야 합니다. 자신의 기질이 어떠한 지를 알게 되면 자신에게 맞는 극복 방법을 찾을 수 있습니다.

 

둘째, 긍정적인 생각 유지하기

기질에 따라 부정적인 생각이 더 많이 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부정적인 생각이 들 때마다 의지적으로 긍정적인 생각을 유지하려 애써보고, 대신 자신의 강점과 장점에 집중하는 노력을 하면 기질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부정적인 생각이 들 때 긍정적인 생각을 해야 한다는 사실 자체가 생각이 나지 않는다면, 아예 거울에 메모지를 붙여 놓아도 좋습니다. 문구를 시각화하면 쉽게 생각으로 전환되기 때문입니다.

 

셋째, 스트레스 관리하기

스트레스는 기질을 악화시키는 주요 요인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자신만의 스트레스 관리 방법을 찾아 시도해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스트레스가 쌓인다고 생각이 들면 운동을 한다거나, 깊은 호흡을 해 본다거나, 5분 동안 맑은 하늘을 쳐다본다거나 하는 등의 방법을 시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넷째,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자신의 기질이 더 나쁜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서는 상황을 피하지 말고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합니다. 문제를 해결하거나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찾으려 애써보면 효과가 있습니다. 피하고 싶은 생각이 들 때마다 ‘이러면 안 되지!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해보자’ 이런 마음을 먹고 적극적으로 대처해 보아야 합니다.

 

기질은 고치기가 어렵긴 하지만 그렇다고 완전히 불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실제로 회사에서 오랫동안 동일한 환경하에서 반복된 일을 하거나 혹은 나이가 들면서 살아온 환경의 변화에 따라 기질이 바뀌는 경우를 주변에서 많이 보아왔습니다. 그렇다면 청소년들의 기질은 더더욱 적극적인 대처에 따라 극복이 가능하다는 뜻이 됩니다. 그러면 꿈을 방해하는 방해물이 아니라, 그 방해물을 극복함으로써 자신의 꿈을 더욱 단단하게 밀고 나가는 긍정적인 새로운 기질을 만드는 것이 될 것입니다.

 

(꿈을 막는 장애물 시리즈)

https://ruach-vision.tistory.com/entry/%EA%BF%88%EA%B3%BC-%EA%B5%90%EC%9C%A1-12-%EA%BF%88%EC%9D%84-%EB%A7%89%EB%8A%94-%EC%9E%A5%EC%95%A0%EB%AC%BC-%EC%9D%98%EC%8B%AC

 

[꿈과 교육 #12] <꿈을 막는 장애물(1) : 의심>

1. 꿈을 막는 장애물 : 내적인 의심 꿈을 이루는데 있어서 가장 큰 장애물은 바로 스스로 갖고 있는 내적인 의심이다. 의사가 되고 싶다는 꿈을 가지고 살면서 ‘내가 의대를 갈 수 있는 점수를

ruach-vision.tistory.com

https://ruach-vision.tistory.com/entry/%EA%BF%88%EA%B3%BC-%EA%B5%90%EC%9C%A1-13-%EA%BF%88%EC%9D%84-%EB%A7%89%EB%8A%94-%EC%9E%A5%EC%95%A0%EB%AC%BC-%EB%82%A8%EA%B3%BC-%EB%B9%84%EA%B5%90%ED%95%98%EA%B8%B0

 

[꿈과 교육 #13] <꿈을 막는 장애물(2) : 남과 비교하기>

1. 남과 비교하기 자존감이 낮으면 남과 비교한다. 남과 비교하면 할수록 ‘나’는 사라지고 다른 사람들의 시선만 남는다. 내 꿈과 다른 사람의 꿈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그 사람이 받는 칭찬을

ruach-vision.tistory.com

https://ruach-vision.tistory.com/entry/%EA%BF%88%EA%B3%BC-%EA%B5%90%EC%9C%A1-14-%EB%82%B4-%EA%BF%88%EC%9D%84-%EA%BA%BE%EB%8A%94-%EC%9E%A5%EC%95%A0%EB%AC%BC-%ED%99%98%EA%B2%BD%EA%B3%BC-%ED%95%91%EA%B3%84

 

[꿈과 교육 #14] <꿈을 막는 장애물(3) : 환경과 핑계>

1. 환경과 핑계 환경이 내 꿈을 꺾는 장애물이 될 수 있다. 공부를 더 하고 싶은데 학비가 없어서 포기해야 하는 경우도 있고, 해외 비즈니스에서 언어의 장벽이 가로막을 수도 있으며, 건강상의

ruach-vision.tistory.com

https://ruach-vision.tistory.com/entry/%EA%BF%88%EA%B3%BC-%EA%B5%90%EC%9C%A1-16-%EB%82%B4-%EA%BF%88%EC%9D%84-%EB%A7%89%EB%8A%94-%EC%9E%A5%EC%95%A0%EB%AC%BC-%ED%9B%84%ED%9A%8C

 

[꿈과 교육 #16] <꿈을 막는 장애물(5) : 후회>

1. 후회 죽기 전 사람들이 가장 많이 하는 것이 후회다. “아… 젊었을 때 세계여행에 도전해볼 걸” “그렇게 좋아하던 그림에 인생을 한번 걸어볼 걸” 하면서 후회를 한다. 후회는 아무리 빨

ruach-vision.tistory.com

https://ruach-vision.tistory.com/entry/%EA%BF%88%EA%B3%BC-%EA%B5%90%EC%9C%A1-17-%EB%82%B4-%EA%BF%88%EC%9D%84-%EB%A7%89%EB%8A%94-%EC%9E%A5%EC%95%A0%EB%AC%BC-%ED%8B%80-%EC%95%88%EC%97%90-%EC%95%88%EC%A3%BC%ED%95%98%EA%B8%B0

 

[꿈과 교육 #17] <꿈을 막는 장애물(6) : 틀 안에 안주하기>

1. 틀 안에 안주하기 꿈을 막는 장애물 중에서 오랜 시간에 걸쳐 세뇌되듯 형성된 것이 사고의 틀이다. 때로는 내 경험을 통해 틀을 만들기도 하고 때로는 책이나 동영상 강의 등 간접경험을 통

ruach-vision.tistory.com

https://ruach-vision.tistory.com/entry/%EA%BF%88%EA%B3%BC-%EA%B5%90%EC%9C%A1-18-%EB%82%B4-%EA%BF%88%EC%9D%84-%EB%A7%89%EB%8A%94-%EC%9E%A5%EC%95%A0%EB%AC%BC-%ED%8F%AC%EA%B8%B0

 

[꿈과 교육 #18] <꿈을 막는 장애물(7) : 포기>

1. 포기 가장 안 좋은 사회는 희망을 꿈꿀 수 없어서 그대로 포기하는 사회이다. 경제적으로 어려워도 희망이 있으면 정신적으로는 괜찮다. 미래를 바라보고 견뎌낼 수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희

ruach-vision.tistory.com

 

by 루아흐비전

 

 

반응형

댓글